안녕하세요. 희정입니다. 이번에 알려드릴 내용은 아스트라제네카 부작용에 대한 정리입니다. 오는 12일부터 아스트라제네카 2차 접종이 시작되는데요. 어떠한 부작용 증상이 있는지 보고된 사례 중심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제조사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유형 : 바이러스 벡터 백신
접종 횟수 : 2회
접종 간격 : 8 ~ 12주 (허가는 4 ~ 12주)
접종 연령 : 만 18세 이상
투여 방법 : 상완 근육에 주사
아스트라제네카 부작용?
1. 혈전증
▷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TTP)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이후 매우 드물게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이 발생할 수 있다.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이란 체내에서 작은 혈전들이 생겨 신장과 심장 같은 주요 기관들의 혈액 흐름을 차단하는 동시에 혈소판 수가 감소하는 질환이다.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의 경우 일반적인 혈소판 감소증과는 증상이 다르다. 혈소판을 소모시켜 혈전이 만들어지면서 체내 광범위한 기관들의 기능을 마비시킨다.
뇌에 혈전이 발생하면 극심한 두통, 혼수, 발작을 일으킬 수 있고, 다른 부위의 경우 혈뇨, 복통, 심장 박동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
백신 접종 후 3일 이상 두통이 지속되고, 구토, 호흡곤란, 흉부 및 복부 통증, 부종 증상이 있다면 즉시 검사를 의뢰해야 한다.
참고로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검사 기준은 위 4가지 중 한 가지 이상 충족되어야 실시 가능하다.
1. 아스트라제네카 및 얀센 백신 접종 후 28일 이내에 의심 증상이 발생한 경우
2. 혈소판 수가 15만 개 미만인 경우
3. 혈전 여부를 판단하는 '디-다이머' 검사 수치가 상승한 경우
4. 영상 검사 등으로 혈전이 확인된 경우
▷ 뇌정맥동혈전증(CVST)
'뇌정맥동혈전증'의 경우 뇌의 혈액을 심장으로 운반하는 뇌정맥에 혈전이 생기는 질환이다. 유럽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한 인구 10만 명당 1명꼴로 발생한다.
주요 증상은 두통, 시야 흐림, 실신 또는 의식불명, 신체마비 및 발작이다. 심각 해질 경우 혼수상태에 빠지거나 뇌 손상으로 인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백신 접종 후 3~4일이 지나도록 두통이 사라지지 않고, 시야장애가 발생한다면 즉시 병원에 내원해야 한다.
▷ 파종성혈관내응고장애(DIC)
'파종성혈관내응고장애'는 체내 혈관에서 혈전이 발생하여 소혈관이 막히는 질환이다. 해외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보고된 부작용 사례에 포함된다. 백신 접종 100만 명 당 1명 수준으로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주요 증상은 증가된 혈전으로 출혈을 조절하는 혈소판과 응고 인자가 감소하여 과다 출혈이 생길 수 있다. 출혈은 주사 부위나 뇌 내부, 피부, 근육, 소화관에서 발생할 수 있다.
백신 접종 후 출혈이 멎지 않거나, 호흡 곤란, 부종 및 발적, 통증이 지속된다면 즉시 병원에서 정밀 검사를 의뢰해야 한다.
2. 길랑-바레 증후군
'길랑-바레 증후군'이란 말초신경에 염증이 생겨 국소부위부터 전신 근육에 이르기까지 마비가 생기는 신경학적 질환이다. 최근 국내에서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이후 사지 마비 증상이 종종 보고된 바 있다.
발병 초기에는 발바닥 등 하지에서부터 힘이 빠지는 증상이 생기고, 시간이 지날수록 상부에 마비 증상이 퍼지게 된다. 보통 1~3주간 마비가 진행되지만, 급성인 경우 수일만에 정점에 이를 수 있다.
만약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후 신체 부위에 마비 증상이 생기고, 호흡곤란이 동반된다면 즉시 진료소에 문의해야 한다. 초기에 치료할 시 호전율이 좋지만, 늦어진다면 심장마비 등으로 사망할 수 있다.
3.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이란 예방접종이나 바이러스 감염 이후 뇌와 척수의 백질을 침범하는 염증이 생기는 자가면역질환이다. 국내에서 40대 여성이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후 이 질환을 진단받고, 산업재해를 인정받은 바 있다.
주요 증상은 두통, 발열, 경련 등이 일어나고, 침범된 신경계 부위에 염증, 반신마비, 뇌신경마비, 운동 실조가 발생한다.
만약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후 사물이 겹쳐 보이는 '양안 복시'와 사지 마비 증상이 지속된다면 즉시 병원에 문의해야 한다.
4. 그 외
일반적으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겪는 부작용 증상은 주사부위 근육통, 발열, 두통, 오한, 메스꺼움 등이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증상은 체내 면역력 형성 과정에서 겪게 되는 일시적인 증상이기 때문에 대부분 3일 내로 사라진다.
만약 접종 후 4일 이상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인근 병원에 내원해야 한다.
이상 아스트라제네카 부작용에 대해 보고된 사례 중심으로 알아보았는데요. 비록 드물게 발생하는 희귀 질환인 점이 있지만, 본인에게 발생한다면 발생 비율은 의미가 없을 것입니다. 의심 증상이 있을 시, 적절한 대처가 필요하겠습니다.
▼ 다른 정보가 궁금하다면 ▼
화이자 백신 부작용 핵심정리
안녕하세요. 희정입니다. 이번에 알려드릴 내용은 화이자 백신 부작용에 대한 핵심정리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유행하는 가운데 화이자 백신에 대한 부작용도 연일 보고되고 있습니
jenhee7.tistory.com
모더나 백신 부작용 핵심정리
안녕하세요. 희정입니다. 이번에 알려드릴 내용은 모더나 백신에 대한 부작용 정리입니다. 국내에서 점차 모더나 접종률이 높아지면서 부작용에 대한 보고도 속출하고 있습니다. 과연 어떤 부
jenhee7.tistory.com
델타변이 증상 핵심정리
안녕하세요. 희정입니다. 이번에 알려드릴 내용은 델타 변이 증상에 대한 정리입니다. 국내 변이 바이러스 중 가장 처음으로 우세종이 되었는데요. 백신도 무력화시킬 만큼 강력하다고 합니다.
jenhee7.tistory.com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티구안 올스페이스 가격 및 출시일 (6) | 2021.08.14 |
---|---|
부스터샷 뜻, 효과, 부작용 정리 (18) | 2021.08.12 |
코로나 증상 순서 간단정리 (18) | 2021.08.09 |
델타변이 증상 핵심정리 (12) | 2021.08.07 |
모더나 백신 부작용 핵심정리 (16) | 2021.08.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