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모더나 백신 부작용 핵심정리

by 백작가의 무비 아카이브 2021. 8. 6.

안녕하세요. 희정입니다. 이번에 알려드릴 내용은 모더나 백신에 대한 부작용 정리입니다. 국내에서 점차 모더나 접종률이 높아지면서 부작용에 대한 보고도 속출하고 있습니다. 과연 어떤 부작용이 있는지 핵심만 간단히 정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모더나?

 

* 제조사 : ModernaTX, Inc.

 

백신 유형 : mRNA

 

백신 효능 : 약 94%

 

투여 방법 : 상완 근육에 주사

 

접종 횟수 : 28일 간격으로 2회 접종

 

접종 권고 대상 : 18세 이상

 

접종 금지 대상 : mRNA 백신 성분(폴리에틸렌 글리콜)에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을 보이는 자

 

 

백신-접종후-안내사항
백신 접종 후 안내사항

 


모더나 부작용?

 

1. 부종

 

모더나 백신을 접종한 뒤, 피부에 부종이 생길 수 있다. 이는 필러를 맞았을 경우 주변 부위에 특히 발현되기 쉽다. 해외에 보고된 사례에 따르면, 모더나 접종 2년 전에 얼굴 필러를 맞았는데 모더나 접종 후 필러 부위에 부종이 올라왔다.

 

근육통과 38도가 넘는 고열이 동반되면서 눈과 입 주변이 붓기 시작해 접종 48시간이 지난 후 부종이 최고조로 달했다. 해열진통제나 세리티진의 효과도 잘 듣지 않았다. 앤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인 리시노프릴을 투여하여 치료를 한 뒤 72시간이 지나자 정상으로 돌아왔다.

 

 

 

 

2. 심근염 및 심낭염

 

심근염은 심장근육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병이고, 심낭염은 심장을 둘러싼 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병이다. 모더나 접종 후 이상증세 분석 결과에서 100만 명당 2명 꼴로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심근염의 주요 증상은 근육통, 구토, 설사 등과 같은 일반적인 감기 증세와 비슷하다. 드물게 활력 징후가 변화하기도 한다.

 

방치하게 되면 심부전이나 부정맥을 동반할 우려가 있다. 감기 증세와 더불어 가슴 통증이 심하게 느껴진다면 즉시 병원에 내원해야 한다.

 

 

 

 

심낭염의 주요 증상은 가슴 통증(흉통)이다. 일반적인 가슴 근육통과는 달리 날카롭게 내부를 찌르는 느낌이다. 호흡이나 기침을 할 때 증상이 더욱 크게 나타난다.

 

시간이 지날수록 호흡 곤란, 발열 및 오한이 동반될 수 있다. 심각해지면 심낭 삼출과 저혈압 쇼크가 올 수 있기 때문에 의심되면 즉시 병원에 내원해야 한다.

 

심근염-심낭염-증상
심근염 및 심낭염 증상

 

3. 혈전증

 

혈전증이란, 혈관 내에 혈전(피가 굳어져 덩어리가 생기는 현상)이 발생하여 체내 혈액순환을 막는 증상이다. 혈전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극도의 피로감, 호흡곤란, 가슴 통증, 심장박동 수 증가, 발열 등이 있다.

 

모더나 백신 접종 후 혈전 부작용 사례가 간혹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65세 남성이 모더나 2차 접종 후 12일 뒤 다리와 뇌 정맥동 혈전증으로 사망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분석 결과에서 100만 명당 1명 꼴로 혈전증이 발생한다고 밝혔다.

 

 

 

 

혈전이 생겼을 때는 보통 종아리 근육통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그러나 심부전 혈전증, 뇌 정맥동 혈전증 등 혈전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증상이 다르기 때문에 위 증상이 지속되면 즉시 병원에 내원해야 한다.

 

혈소판혈전증-내용
혈소판혈전증 내용

 

4. 그 외

 

모더나 접종 후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부작용은 발열, 오한, 두통, 피로감, 접종 부위 근육통 등이다. 모두 일시적인 증상이며 면역체계 형성에 의한 작용이기 때문에 3일 내로 증상이 호전된다. 화이자와 같은 mRNA 백신이므로 부작용 증상도 비슷하다. 물론 시간이 지나도 증상이 지속된다면 의료기관에 문의 후 인근 병원에 내원해야 한다.

 

 

 

 

모더나 접종 유의사항

 

1. 모더나 1차 접종 이후 권장 간격인 28일(3주)을 지키고 2차 접종을 하는 것이 좋다. 만일 간격을 지킬 수 없다면 최대 간격인 42일(6주) 이내로 접종해야 한다. 이 간격 이후 접종을 하게 되면 백신 효력이 극히 제한될 수 있다.

 

2. 1차 접종을 모더나로 맞았지만, 2차 접종 시기에 모더나를 접종받을 수 없다면 교차 접종을 하는 것보다 최대 6주까지 접종을 연기하는 것이 좋다. 교차접종에 대한 안정성이 아직까지는 확보되지 않았다.

 

 

 

 

3. 심근염이나 심낭염 병력이 있는 환자의 경우 완치 후 모더나 백신을 접종할 수 있다. 후유증과 회복력 등을 판단하는 검사를 통과한 이후 접종 가능하다.

 

4. 모더나 1차 접종 후 심근염과 심낭염이 발생했다면 권고 접종 간격(3주)을 무시하고 2차 접종을 연기해야 한다. 이후 완치가 되면 전문의와 상담 후 2차 접종을 하도록 한다.

 

백신-이상반응-매뉴얼
이상반응 매뉴얼


이상 모더나 부작용과 유의사항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는데요. 접종 후 면역체계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경미한 부작용은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증상이 지속될 시 의료센터에 문의하시면 되겠습니다.

 


▼ 다른 정보가 궁금하다면 ▼

 

 

화이자 백신 부작용 핵심정리

안녕하세요. 희정입니다. 이번에 알려드릴 내용은 화이자 백신 부작용에 대한 핵심정리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유행하는 가운데 화이자 백신에 대한 부작용도 연일 보고되고 있습니

jenhee7.tistory.com

 

델타변이 증상 및 치사율 잠복기 완벽정리

안녕하세요. 희정입니다. 이번에 전해드릴 내용은 델타변이 증상 및 치사율, 잠복기에 대한 정리입니다. 현재 코로나19 전체 확진자 중 40%, 변이 바이러스 중 약 80%가 델타변이 감염자라고 하는

jenhee7.tistory.com

 

람다변이 증상 치사율 잠복기 예상

안녕하세요. 희정입니다. 이번에 전해드릴 내용은 람다 변이 증상 치사율 잠복기에 대한 내용인데요. 델타 변이에 이어 람다 변이가 신종 바이러스로 전 세계에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jenhee7.tistory.com

 

반응형

댓글